전체 409

인공지능시대에도 통하는 유비의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46 9 0 2 2024-12-10
삼국지는 BC 2세기에서 3새기까지의 중국대륙을 무대로 벌어지는 구웅할거(群雄割據)의 이야기이다. 한나라 고조 유방이 세운 한나라가 그 운명을 다해 쓰러지면서 생기는 천하대란(天下大亂)의 싸움 이야기이다. 위, 오, 촉의 세나라의 삼파전에서 위나라를 거쳐 진나라로 통일된다. 나관중의 삼국지는 국가의 통일과 분열이라는 역사적인 사건보다 인물에 대한 매력, 즉 영웅호걸에 대한 흥망성쇠(興亡盛衰)의 드라마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소설이다. 당시 내려오는 정사와 이야기를 기초로 쓴 삼국지는 현재까지도 인재경영에 대한 명감을 주는 경영서적이다. 리더십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그러한 위대한 리더들에 의해 국가들은 번영을 누리기도 하였다. 리더십이 부..

조지 패튼 장군의 카리스마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68 12 0 4 2024-12-09
“A piece of spagetti or a military unit can only be led at the front end” “스파게티 끝을 밀어서는 앞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그렇게 하면 가운데가 휘어지기만 한다. 병사들을 앞에서 이끌지 않는다면 그들의 대오 역시 마찬가지가 될 것이다” 조지 패튼 장군을 다룬 영화는 둘, ‘패튼 대전차 군단’(Patton·프랭클린 샤프너 감독·1970년·180분)과 ‘최후의 패튼’(The Last Days of Patton·델버트 맨 감독·1986년·150분)이다. ‘패튼’에서 장군(조지 스콧 분)이 아프리카 로멜 군단 소속 독일군 전투기를 향해 권총을 발사하는 장면, 겁에 질린 병사를 구타하는 장면은 매우 인..

미래를 대비하는 선진국군 정신전력교육

이상복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43 14 0 1 2024-12-06
전쟁에서 정신력만 갖고 싸울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정신력으로 무장하지 않은 군대는 죽을 각오로 싸우는 군대를 결코 이길 수 없을 것이다.’ 우리 모두가 잘 아는 13척으로 130여 척의 일본 수군을 물리친 이순신 제독의 전투뿐만 아니라 1만의 시민군이 3만의 페르시아 대군을 물리친 마라톤 전투 등 여러 전투에서 정신전력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국가의 국방력은 여러 요소로 구성된다. 전투기와 함정, 전차 같은 유형 전력이 있다면 그 반대쪽에 있는 것이 사명감·애국심·책임감 등으로 표현되는, 보이지는 않지만 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는 게 무형전력 또는 정신전력이다 국군 장병에게 정신전력이란 절대 양보할 수 없는 국가수호의 심..

현대·미래전과 정신전력 강화방안

이상복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31 10 0 0 2024-12-05
지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개전 초기만 해도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가 10일 이내 항복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대통령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저항은 러시아 군에게 승기(勝機)를 안겨주지 못했고(고현종, 2023), 2년 6개월이 경과한 지금도 종전(終戰)은 되지 않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무기와 기술만으로는 전쟁의 승패가 결정나지 않고, 열세한 군사력이어도 군수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다면 전쟁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지휘관(자)과 부하 상호 간의 신뢰(信賴)가 전장에서 중요한 요소이고, 이들이 리더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갖추고 있을 때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재난영화『단테스 피크』가 우리에게 준 함의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36 12 0 3 2024-12-04
1997년에 개봉한 재난 영화로 피어스 브로스넌, 린다 해밀턴 주연. 감독은 칵테일, 스피시즈, 겟어웨이 리메이크판을 연출한 로저 도널드슨. 배급은 유니버설 픽쳐스이다.. 화산 폭발을 다룬 재난영화라고 할 때, 이미 1980년에 나온 화산폭발을 다룬 재난 영화 ‘대지진(When Time Ran Out)이 있었다. 타워링에 나왔던 폴 뉴먼, 윌리엄 홀든이 또 나오고 어네스트 보그나인, 재클린 비셋, 베스트 키드 시리즈에 나온 팻 모리타 같은 화려한 배우진임에도 제작비 2000만 달러로 만들어 흥행수익 400만 달러도 안되는 대참패를 당한 사례가 있었는데 17년만에 나온 화산 폭발 재난 영화이다. 인구 약 2만명의 소도시 2019년 기준 인구 수는 782..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게 한 한니발 장군의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38 9 0 3 2024-12-03
❝한니발(Hannibal Barca)은 병사들과 같은 음식을 먹고 같은 옷을 입었다. 급료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용병들은 한 번도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고, 한 명의 탈영병도 없었다. 칸나에전투는 한니발이 군사적인 천재라는 증거로서 각국의 사관학교에서는 대표적인 전투사례로 소개하고 있다❞ 하니발은 고대 카르타고 공화국의 장군이다. 세계사에서 카르타고를 대표하는 위인이며 명장이다. 그는 조국 카르타고를 꺾은 강대국 로마를 소수의 병력만으로 연파해 거의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었던 로마 최대의 숙적이자 공포의 대상이었다. 오죽했으면 로마인들이 우는 아이를 나무랄 때 하는 말이 "한니발이 문 앞에 와 있다(Hannibal ad portas)"였다. ..

조조의 재평가 및 전략적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36 7 0 5 2024-12-02
리더는 위기에서 그 민낯이 드러난다. 특히 비상 경영 상황의 위기 탈출을 위해서라면 리더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야 한다. 그것은 적극적이고 실리적이며 효율적인 리더십이다. 동시에 체면과 자존심, 직급, 명예 따위에 얽매이는 고답적인 리더십은 버려야 한다. 모두를 살리기 위해 아니면 최소한의 희생으로 조직을 버텨내기 위한 최고의 방법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삼국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이 유비, 관운장, 장비이다. 그러나 소설 전체를 놓고 리더십 차원에서 인물을 평가해 본다면 가장 뛰어난 사람은 바로 조조(曹操)라고 해야 할 것이다. 보잘 것 없는 초급장교 시절에 성문을 지키던 조조가 일약 한나라의 최고 지위인 승상으로 오르기까지 그..

한국군과 한국사회·군대문화 연구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148 8 0 4 2024-12-02
현재 한국사회에는 병역제도나 군복무와 관련하여 매우 대조적인 세 가지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에서는 자신은 물론 가족의 병역의무이행이 한국사회에서 고위공직자가 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생각하고, 다른 편에서는 군복무는 인생의 낭비요소로서 남자가 장차 군복무를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해외이민’을 고려한다. 그리고 사회일각에서는 ‘징병제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인터넷사이트의 개설이나 특정 종교 계파와 결부되지 않은 ‘양심적 병역거부’의 선언 등 지난 반세기 당연시되었던 군대의 존재, 병역의무의 당위성 자체를 의문시하다. 병역제도와 군복무는 군대와 사회를 잇는 연결고리이다. 병역제도와 군복무에 불만이 쌓이면 군사력 형성에 부정적..

영국여왕을 감동시킨 호커리의 투혼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41 8 0 3 2024-12-01
호커리는 1982년 대장으로 승진하여 북유럽 연합군사령관으로서 임무를 마치고 퇴역할 때까지 군사문제 및 한국전쟁에 관한 서적을 여러 권 출판하였다. 그리하여 영국 국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6·25전쟁의 실상을 알렸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급기야 영국 여왕의 마음까지도 감동을 주어 여왕으로부터 영광스런 기사작위까지 받게 되었다. 영국에 산재한 수많은 성당 중에서 영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세 인트 폴’ 성당의 지하 기념관 벽면에는 6.25전쟁 당시 아리랑 고개를 넘나들며 용전분투하다 산화한 전우들을 추모하는 한국전 참전 기념비가 있다. 해마다 6.25전쟁 기념식이 열릴 때마다 참전 용사들은 서투른 우리말로 ‘아리랑’을 부른다. 6.25전쟁 당시..

해군 창설의 주역 손원일 제독의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37 10 0 4 2024-12-01
“손원일 제독의 비전은 오늘의 해군을 있게 한 원동력이 되었다.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원칙을 세우고, 솔선수범하였으며, 임무를 창의적이고 헌신적으로 수행하였다. 그의 뛰어난 리더십은 오늘날 우리 군의 바람직한 리더십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해군 창설의 아버지로 불리우고 있는 손원일(孫元一) 제독은 1946년 8월 해사대를 결성하면서부터 해군 구성원이 충무공의 후예임을 표방하였다. 이후 해방병단을 창단한 이후로는 충무공 중심의 수군정통성을 계승하기 위하여 ‘충무공정신’을 해군의 실천적 정신이자 이념으로 정립하였다. 충무공정신은 손원일 제독이 1948년에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삼가 이 몸을 바치나이다’를 창군 이념으로 표방함에 따라 그것을 뒷받침하는 하나의 지침으..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