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409

리더십과 연계한 정신전력 발전방안 연구

이상복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1 0 127 7 0 9 2024-05-23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장병 정신교육과 리더십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리더십 교육은 무형전력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상호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정신교육에 의해 육성된 전투력이 리더십에 의해 발휘된다고 할 만큼 상호 보완관계에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정신전력 함양을 위한 부서는 국방정신교육원이 폐지되고 난후 정훈병과 중심으로 리더십 역량함양은 각군 리더십센터 및 각급 양성 및 보수교육 업무담당자 중심으로 각각 별개의 장에서 각각의 개념을 바탕으로 노력하다보니 교육시행의 당위성이나 무형전력 관리의 필요성보다 교육의 설득력과 사회와의 통용성에 기반을 두고 군내에 전달됨으로써 군의 정신적 가치체계 정립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리더십교육과 정신교육의 엇갈..

한국군 정신전력 육성 기초 연구

이상복 | 유페이퍼 | 3,000원 구매
1 0 131 34 0 2 2024-05-24
1973년 2월 20일 고(故) 박정희 대통령은 국방부 연두순시에서 “전쟁의 승패는 병력이나 장비의 우월보다도 정신전력에 좌우되므로 모든 부대의 정신전력 수준을 끌어 올려야 한다”고 지시, ‘정신전력(精神戰力,Moral Strength Combat Power)’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동양의 손자(孫子)는 그의 병법(兵法)을 통하여 장병들의 정신력이 전력화된 상태를‘각 사병이 지휘관과 같은 뜻을 가진 상태(上下同欲)라고 했다. 1973년 초의 ‘정신전력’이란 용어가 최초 사용된 개념은 '정신전력이란 휘하 장병이 지휘관의 의도적 요구에 가장 가깝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상태 또는 그 정도'로 정의를 내리면서 정신전력을 강화하는 데는 지휘관(指揮官)체가 되어야 ..

전투사례를 통해 본 영웅 김영옥 대령의 군인정신 연구

이상복 | 유페이퍼 | 1,500원 구매
1 0 100 23 0 16 2024-05-26
한국․프랑스․이탈리아의 최고무공훈장 수훈, 미군 야전교범을 다시 쓰게 한 전설적 작전장교, 6·25전쟁시 대대장으로 참가하여 현재의 휴전선을 60㎞ 북상시킨 주역, 대령으로 전역 후 여성․아동․빈민 등 사회적 약자의 수호천사, 한국인임이 자랑스러운 독립운동가의 아들... 그가 바로 전쟁영웅 김영옥(金永玉) 대령이다. 그의 삶은 한마디로 성실과 근면, 용기와 헌신, 겸손과 봉사의 삶으로 대변되는 한 편의 드라마이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가하여 유럽전선에서, 6․25전쟁시 중동부전선을 누비며 불패(不敗)의 신화를 남긴 그의 명성은 지금도 유럽의 곳곳에서 그리고 미국과 한국의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전설적 영웅으로 남아 있다. 그가 발휘하였던 뜨거운 조국..

글로벌 현장 리더십 성공 사례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145 7 0 4 2024-05-26
21세기는 글로벌 리더십 시대이다. 경영학적인 측면에서 글로벌 리더십은 글로벌 기업에 근무하는 경영자와 관리자 또는 해외에 파견되어 근무하는 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은 국경없이 상호 연결된 글로벌 경제의 출현으로 인해 엄청난 경쟁과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생존·발전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차원의 역량을 갖춘 리더들을 육성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글로벌 다양성 리더십은 보통의 리더십과는 다른 스타일로 상당한 인내와 유연성이 필요하다. 안으로는 직원들과 여러 이해관계자의 다양성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메타 수준의 인지지도를 만들어야 할 장도로 고난도의리더십이 요구된다. 게다가 밖으..

대한해협 해전의 영웅 백두산함 최용남 함장의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132 7 0 14 2024-05-17
최용남 중령은 6·25전쟁 발발 다음 날인 1950년 6월 26일 국민성금으로 완성된 최초의 전투함인 '백두산함'을 이끌고 출정, 부산 동북방 해상에서 1천 t급 북한 무장수송선을 발견해 추적 끝에 격침했다. 전투는 해군 사상 최초의 단독해전으로 이 해전의 승리로 아군은 해상 통제권을 확보함으로써 6⋅25전쟁 중 해전의 전환점이 되었다 창군 당시 우리 해군은 제대로 무장을 갖춘 함정은 한 척도 없었다. 초대 해군참모총장이었던 손원일(孫元一, 1909~1980)제독은 해군전력 강화가 무엇보다도 최우선 정책 추진과제로 인식했다 우선 우리 해군 장병들이 먼저 한 마음으로 뭉쳐 전투함을 구입하기 로 결심하고 월급에서 장교 10%, 병조장 ..

나폴레옹을 능가한 고선지 장군의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109 7 0 11 2024-05-19
고선지 장군의 인간존중과 창의적 혁신 리더십은 오늘날 국경을 초월하여 글로벌 시대, 포스트 코로나 19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에게 요구되는 역할 모델이다. 인간의 침입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 땅, 파미르 고원. 이 파미르를 넘고 힌두쿠시 산맥을 넘어 험준한 산에 둘러싸인 파키스탄 북부를 정복한 한 장수가 있었다. 빙하로 덮여 있는 해발 4,580m의 고개, 혹한의 추위와 고산병에 시달리던 부하들이 더 이상 전진을 거부했던 곳, 당(唐) 황제의 명을 받고 그의 747년 고선지 장군은 1만 명의 당나라 군사를 이끌고 이 대원정을 감행했다. 그리고 인간의 힘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믿었던 이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힌두 쿠시 산맥-비행기에서 본 백그라운..

고려의 영웅 김윤후 장군의 인간중심 리더십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179 5 0 13 2024-05-19
제4차 산업혁명, 코로나 19 시대, MZ세대, 복지관리주의 등 우리 주변의 환경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속에서 리더로서 우리는 어떨게 해야 할것인가? 대체 리더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도대체 인간중심의 리더십이 무엇일까? 그 원형을 김윤후 장군 리더십에서 발견할 수 있다. 장군..

영웅 김동석 대령을 아십니까? 창조적 혁신 리더십을 배운다.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111 8 0 11 2024-05-20
그는 애국충정과 용기, 대담성으로 상징되는 참 군인의 표상으로 6․25전쟁 중에는 적이 가장 두려워했던 첩보부대의 지휘관으로, 전쟁 후에는 강직하고 청렴결백한 공직자의 길을 걸어 온 이 시대의 진정한 영웅이었다 ​ 6.25전쟁의 살아있는 영웅으로 미국정부가 선정한 김동석은 그 당시만 해도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다. 그는 암울한 조국을 위하여 일생을 바친 애국자이며 참군인이었다.육사 8기 예비역 대령출신으로 팔순을 넘긴 노병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잊혀진 노병을 미국정부가 발굴하여 전쟁영웅으로 부각시킨 것이다. 뒤늦게나마 한국전쟁을 통한 그의 영웅적 공로가 재평가 된 것이다. 미국은 지난 2000년 12월 18일 김동석을 전쟁 영웅..

리더십 전문가가 본 10년차 퇴직 간부 양봉 창업 성공 비결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2 0 226 6 4 16 2024-05-21
지금 전국적으로 꿀벌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78억 마리(전체의 17.8%)가 사라진 데 이어 올해도 100억 마리 이상이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전망이었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적 현상이라 심각성이 가중되었습니다. 벌들이 사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확한 해답이 없다는 것입니다. 대대부분 인간 활동에서 기인한다며 그것은 살충제, 도시화, 온난화, 대기오염 등이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고 합니다. 과연 지구상에 꿀벌이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요?꿀벌이 사라지면 꽃가루를 옮기는 수분에 막대한 지장이 생깁니다. 궁즉통(窮則通)... 지금 동생에겐 가장 필요한 마음가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인간은 최..

고등학생의 화재 안전 리더십 교육 이렇게 하세요.

이상복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141 7 0 8 2024-05-16
한때 외국에서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내라 1위라고 한 적이 있는데 여러분도 그렇게 생각합니까? 지난 `2023 세계 안전지수`(Safety Index by Country 2023)에서 한국이 17위(73.4점) 국가로 선정됐습니다. 이웃나라 일본은 8위(76.9점)입니다. 베네수엘라는 142위(17.4점)로 안전이 가장 낮은 국가입니다. 서울은 범죄지수는 24.6점(388위), 안전지수는 75.4점입니다. 일본 동경은 범죄지수 24.2점(391위), 안전지수는 75.8점입니다. 그러나 최근 서울 강남 40대 여성 납치 살해 사건과 잇따른 산불 발생을 보면서 과연 `대한민국이 안전한 나라인가?`라는 의문이 들고 있습니다. 하인리히(H.W.Heim..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