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0 0 0 0 0 15일전 1

미래환경에 요구되는 군인정신 덕목 연구

우리 군은 창군 이후 여러 가지 찬연한 업적을 많이 남겼으며, 그 중에도 특히 6.25 전쟁과 같은 누란의 위기속에서도 성공적으로 국가를 방위하였고 역사적으로 첫 해외파병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하여 우리 국군의 위용을 세계 만방에 과시하였다. 국군은‘오늘의 세계 속의 한국’이 있게 한 국가초석의 역할을 다 하기도 했으나 종종 예기치 못한 사고와 불상사로 인하여 국민에게 불신과 불편을 준 일이 없지 않았던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이때 마다 군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신전력교육에 문제점이 있는게 아니냐? 하는 여론에 직면하게 되며 특히 군인정신 내용이 합리적인가? 하는 점에서 의문이 제기되곤 하였다. 군인은 실제 상황이 발생하면전쟁에 투입되어 전투에서 승리해야하는 의무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군인..
우리 군은 창군 이후 여러 가지 찬연한 업적을 많이 남겼으며, 그 중에도 특히 6.25 전쟁과 같은 누란의 위기속에서도 성공적으로 국가를 방위하였고 역사적으로 첫 해외파병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하여 우리 국군의 위용을 세계 만방에 과시하였다.
국군은‘오늘의 세계 속의 한국’이 있게 한 국가초석의 역할을 다 하기도 했으나 종종 예기치 못한 사고와 불상사로 인하여 국민에게 불신과 불편을 준 일이 없지 않았던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이때 마다 군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신전력교육에 문제점이 있는게 아니냐? 하는 여론에 직면하게 되며 특히 군인정신 내용이 합리적인가? 하는 점에서 의문이 제기되곤 하였다.
군인은 실제 상황이 발생하면전쟁에 투입되어 전투에서 승리해야하는 의무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군인이 지녀야할 정신을 말한다. 즉 전투의지의 또 다른 표현 중 하나이며 군인은 언제든지 전투에 임할 수 있도록 평시에도 교육, 훈련 등을 통하여 군인의지를 강조한다. 군기와는 다소 의미가 다른데 군기는부대단위에서 세워지는 기율을 뜻한다면 군인정신은 군인 개개인이 함양해야할 의지력을 뜻한다. 현존의 군인정신이 이 시대에 맞게 분석하고 보완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저에게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을 표현하기 위해서 ‘마음을 더듬는 것’을 말합니다. 매일 더듬고 또 더듬는 시간을 보내며 행복감을 느낍니다. 지금까지 미쳐 짐작하지 못할 정도로 자신의 잠재능력과 발전 가능성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1951년 전라남도 광양에서 태어나 일찍이 직업군인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군 생활 중 주경야독(晝耕夜讀)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북한학 석사과정과 총신대 신대원 석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 그리고 늦깎이로 캐나다 크리스천 대학교에서 상담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공보정훈장교로 1998년 27년의 군생활을 마치고 국방대학교 군전임교수, 국방대학교 국방리더십개발원 연구교수,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전문연구원, 국방정신전력원 전문연구원 등 오랫동안 정신전력교육 분야에서 강의 및 연구 경력을 갖고 있습니다. 국방대학교에서 7년간 국군 장병 정신전력교육자료를 집필했습니다.
그리고 한 때 주식회사 잡뉴스 솔로몬 서치 이사 및 컨설턴트로 사회를 배웠으며, 국가보훈처(지금의 보훈부) 나라사랑 전문교수로 초 중 고 학생들에게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심어 주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국방대학교 국방 리더십 개발원 연구교수로 5년간 고급제대 리더십을 연구 및 교육하는 소중한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연구를 하면서 관련 서적을 읽었고 직접 리더십 콘텐츠 개발했으며 글로벌 현장 리더십과 국내외 명장 리더십을 연구하여 국방 리더십 저널지와 대외기관에 기고하였습니다. 고급 제대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팀의 일원으로 주로 리더십 영상 프로그램 개발 지식과 기술도 터득했습니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지식기부강사를 비롯한 독도의용수비대 연합회 소속 전문강사, 서울 서부지방법원 협의이혼 상담위원, 행정안전부 안전교육 전문강사, 한국군사문제 연구원 전문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네이버 블로그 운영과 406권의 전자책을 집필하였고 지금도 매일 쓰고 있습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