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0 0 0 1 0 1개월전 1

여순 사건으로 인한 우리 집안의 위기일발

역사는 무엇인가? 역사학자 E.H. 카(Edward Hallett Carr) 교수는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즉 역사는 지나간 과거 사건이나 사태이지만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각 시대마다 그 시대의 관점에 따라 끊임없이 재해석된다는 것이다. 역사가 신채호는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과정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아(我)는 자기 자신을 자각하는 동시에 항상 나와 상대하고 있는 존재 비아(非我)와 마주 선 주체를 의미한다. 상대성을 지니면서 또한 비아(非我)와의 관계속에서 비로소 아(我)가 생성되는 것이다. 아(我)와 비아(非我)와의 싸움은 자신 스스스로의 역사 안에서도 존재하고 국가의 역사안에서도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역사에는 역사가의 선택적 기술이 있다...
역사는 무엇인가? 역사학자 E.H. 카(Edward Hallett Carr) 교수는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즉 역사는 지나간 과거 사건이나 사태이지만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각 시대마다 그 시대의 관점에 따라 끊임없이 재해석된다는 것이다.

역사가 신채호는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과정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아(我)는 자기 자신을 자각하는 동시에 항상 나와 상대하고 있는 존재 비아(非我)와 마주 선 주체를 의미한다. 상대성을 지니면서 또한 비아(非我)와의 관계속에서 비로소 아(我)가 생성되는 것이다. 아(我)와 비아(非我)와의 싸움은 자신 스스스로의 역사 안에서도 존재하고 국가의 역사안에서도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역사에는 역사가의 선택적 기술이 있다. 일어난 일을 반추하고 정리해서 과거의 일을 현재와 미래의 교훈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많은 역사를 경험하고 배우면 좀 더 나은 세상이 돼야 하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역사는 현재와 미래의 길잡이다. 우리가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선조들이 무엇을 위해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렸는지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취급했는지 그리고 보존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알수 있으며 그 결과를 활용하여 나라를 발전시킬 수 있다.

기억하지 않은 역사는 되풀이된다. 그리고 그 기억은 순수한 기억에서 지향해야 할 가치로 넘어가야 한다. 개인적으로 우리가 발을 딛고 살아가는 공간에서 벌어진 아픔이 있고 그것을 겪은 이야기가 곁에 존재한다면, 그들의 아픔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국민으로서 제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우리 집안 가족사, 아버지 형제는 7남 1여로서 해방이후 겪은 아픈 역사를 이야기 하려고 한다.
.
● 이상우
1949년 음력5월17일 전남 광양에서 태어 났다. 태어나자 마자 정치적 혼란고 더불어 역사의 격동기인 여순사건, 6.25 전쟁, 지리산 공비의 준동 속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더욱이 당시 경찰가족의 장남으로 불안전한 가정환경, 가난과 배고픔 속에서 잡초처럼 성장했다. 이런 성장환경이 쇠는 두들길수록 단단해 지듯이 그 누구보다 회복 탄력성이 강하다.

특히 공직자의 아들로 누구보다 국가관과 자유민주주의 신념이 투철하고 나라사랑 정신을 묵묵히 실천하고 있다.

한때는 운전기사로, 자동차 운수회사 사장으로, 그리고 법률문제 상담가, 경매 전문가 등 다양한 직업을 했다. 아버지가 계시지만 여순사건에서 겪은 고통과 아픔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그래서 청소년 시절부터 실질적인 가장 역할을 하였으며, 그 힘든 세월을 오직 신앙으로 버티게 했다. 이러한 신실한 신앙심으로 40대 초반에 교회 장로로 피택되어 교회를 섬겼다. 지금은 은퇴장로로 새벽마다 나라와 민족, 모친과 형제, 4촌 형제 그리고 자식들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

특유의 언변가로서 매우 논리적인 사고와 설득능력이 탁월하며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일을 하고 있다. 지금도 매일 지역 사회복지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자아성찰과 더불어 배우는 데 열정과 기쁨을 얻고 있다.


● 이상복
지난 2015년 1월 공직생활 43년을 마감하고 사회 초년생이 된 지 8년이란 세월이 지났다. 퇴직 후 재난안전 민방위 강사에 도전하여 주로 충청 지역과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강사활동을 하였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지식기부강사를 비롯한 독도의용수비대 연합회 소속 전문강사, 서울 서부지방법원 협의이혼 상담위원, 행정안전부 안전교육 전문강사, 한국군사문제 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국방대학교 국방리더십개발원 연구교수로 5년간 근무하면서 리더십에 관한 독서활동과 리더십 콘텐츠 개발, 리더십 사례 연구 등에 주력하여 왔으며 주로 글로벌 현장 리더십과 국내외 명장 리더십을 연구하여 국방리더십 저널지와 대외기관에 기고하였다. 고급제대 리더십 프로그램개발팀에 들어가 영상 프로그램도 개발하였다. 현재는 네이버 블로그 운영과 매일 전자책을 집필하고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