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은 생명 연장과 직결되어 있다. 일본에서 신체심리학이 많이 연구되었는데 경기대학교 김정운 교수가 일본에서 한 권의 책을 번역했다. 그 책 제목이'애무'이다. 김교수는 '애무'를 '접촉'으로 번역했다.
그 책의 원저자인 ‘야마구치하지매’박사가 '애무와 수명과의 관계'를 연구했다. 그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노부부 중 아내가 사망하면 남편은6개월밖에 못 살고 남편이 사망하더라도 아내는 4년을 더 산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그 원인을 규명했는데 그것이 바로 '피부접촉'에 있었다. 아내는 남편보다 접촉을 많이 했다. 손자를 돌본다거나 바느질을 한다거나 집안청소를 하는 등 꾸준히 접촉활동을 하더라는 것이다.
그러나 남편은 아내가 죽자‘접촉결핍중후군((接觸缺乏症候群)’에 걸려서 결국 일찍 죽더라는 것이다.
교류분석(TA)에서 스트로크가 결핍이 일어 날 때 보통 인간은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 하는데 접촉이 잘 되지 않으면 안정감을 갖지 못한다. 원래 인간은 인정자극을 먹고 사는 동물인데 인간은 모두 인정자극을 필요로 한다. 사람이 산다는 것은 인정자극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모두가 자기의 존재를 인정받기 위한 욕구가 내재해 있다.
그런데 어릴 때 접촉이 부족하면 이것을 '인정자극기아(stroke hunger)에 빠지고 만다. 부모나 상사로 부터 무시당하는 경우에 그 경향이 조장된다. 이렇게 되면 무리를 해서라도 인정자극을 받는 수단으로서 장난이나 나쁜 짓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면 '게임(game)'이 된다.
‘
● 이회승
1935년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만학으로 캐나다 크리스찬대학교에서 상담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작장생활로는 해운산업연구원 기획정보실장 연구조정실장과. 해양수산개발원 초청연구위원등 을 역임하면서 70세에 은퇴하였다. 2024년 12월 현재 600회의 네이버 블로그를 올렸다. 지금도 1회 이상 불로그를 올리고 있다.
중요한 활동실적으로는, ①중앙노인전문가관 모니터활동, ②경기지방경찰청 상담전문위원, ③서울시시니어아케데미강사 ④국가인권위원회 노인인권지킴이단 ⑤대한노인회, 종교단체등에서 강의등을 들 수 있다. 저서로는 ① 아름다운 황혼을 준비하라 ② 퇴직후 인생경영 ③ 삶을 빛낸 소중한 이야기 ④ 은퇴후 100세시대 지혜롭게 사는 법 등 7종이 있다. 그뱎에 집필과 관련된 수상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주최한 “활동적인 시니어 확산을 위한 자서전 공모전”에서 본인이 최우수싱을 받았다.
● 이상복
지난 2015년 1월 공직생활 43년을 마감하고 사회 초년생이 된 지 8년이란 세월이 지났다. 퇴직 후 재난안전 민방위 강사에 도전하여 주로 충청 지역과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강사활동을 하였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지식기부강사를 비롯한 독도의용수비대 연합회 소속 전문강사, 서울 서부지방법원 협의이혼 상담위원, 행정안전부 안전교육 전문강사, 한국군사문제 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국방대학교 국방리더십개발원 연구교수로 5년간 근무하면서 리더십에 관한 독서활동과 리더십 콘텐츠 개발, 리더십 사례 연구 등에 주력하여 왔으며 주로 글로벌 현장 리더십과 국내외 명장 리더십을 연구하여 국방리더십 저널지와 대외기관에 기고하였다. 고급제대 리더십 프로그램개발팀에 들어가 영상 프로그램도 개발하였다. 현재는 네이버 블로그 운영과 전자책 327권을 집필하였으며 지금도 전자책을 쓰고 있다.